모바일 메신저들이 지원하는 기기 종류 및 지원하는 운영체제(OS)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모바일 메신저 어플의 통계자료를 보겠습니다. 전세계 추세이기 때문에 국내상황과는 당연히 판이합니다.
< 출처 : http://www.statista.com/statistics/324794/mobile-messenger-app-reach/ >
이제는 본론으로 들어가서 국내에서 많이 쓰이거나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모바일 메신저의 지원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1. 다음 카카오톡(KakaoTalk)
공식사이트 http://www.kakao.com/
사용가능 기기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블랙베리
- 윈도우폰
- 노키아 Asha
- PC(Windows)
- PC(Mac OS)
2. 네이버 라인(LINE)
공식사이트 http://line.me/ko/
사용가능 기기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블랙베리
- 윈도우폰
- 노키아 Asha
- PC(Windows)
- PC(Mac OS)
3. WhatsApp
공식사이트 http://www.whatsapp.com/
사용가능 기기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블랙베리
- 윈도우폰
- 노키아 Symbian
4. WeChat
공식사이트 http://www.wechat.com/ko/
사용가능 기기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블랙베리
- 윈도우폰
- PC(Windows)
- PC(웹)
세계추세와 달리 '페이스북 메신저', '스카이프', '바이버' 사용자는 국내에는 그리 많지 않으며,
카카오톡이 거의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가는 모양새입니다.
다행이 이제는 카카오톡도 다양한 기기를 지원하여 여러기기에서의 사용이 불편하지 않습니다.
아래 표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 현황입니다.
중국 텐센트의 위챗은 중화권을 기반으로 엄청난 포지션(사용자 6억명이상 추정)을 구축중이고, 라인(사용자 4억이상 추정)은 특이하게 일본(4800만), 대만(1700만), 태국(1800만), 인도네시아(1400만) 및 스페인(1500만)에서 활약을 하는 모양새를 띠고 있다.
PC 메신저에서 모바일로 옮겨온 모바일 메신저의 태동은 대략 9년 가까이 됐고, 연락처를 끌고와서 양쪽다 번호를 보유하고 있으면 필요한 연락처라 판단하여 친구등록을 하는 왓츠앱의 등장으로 사용자 확대가 크게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같은 방식의 카카오톡(2010년3월)이 붐을 일으키며 스마트폰시장의 확대와 함께 성장한 것이 벌써 6년째에 접어듭니다. 특이하게 국내 메신저로는 라인(네이저 재팬 소속)이 글로벌 시장에 집중하여 세계시장에서는 카카오톡을 훨씬 앞서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글이 개인적 메모에서 시작되어 메신저에 대한 여러 단상을 왔다갔다 하고 있어서 이제 좀 마무리하자면
메신저는 모바일에서 빠질 수 없는 앱이자 플랫폼이 되었으며, 앞으로는 특별한 혁신보다는 언어적 기반을 둔 독점적 사업자들의 굳히기 양태로 가리라고 보여집니다. 어느 메신저가 불편한 부분이 있고, 다른 메신저가 좀 더 편하다라도 주변의 많은 사람이 쓰는 메신저를 무시할 수 없으며 일종의 사회적 의미의 문화까지 되어버린 메신저에 대한 이런저런 현상들의 단상들과 처음 글을 쓰기 시작한 이유인 지원기기들을 알아본 것에 의미를 두고 글을 마치려합니다. (다음에 시간이 된다면 제대로 정리된 글로 수정해보려고 합니다.^^;;)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메일로 큰 용량의 파일을 보내기 : WETRANSFER (0) | 2015.06.04 |
---|---|
SSD 최적화 (0) | 2015.05.18 |
근거리 무선 통신 용어정리 (0) | 2015.01.21 |
스마트폰 메신저 보안 점수 (0) | 2014.12.20 |
삼성프린터 비밀번호 (SyncThru) 기본값 (0) | 201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