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DDNS 설정법입니다.
가정에서는 인터넷 자체가 유동IP이기 때문에 밖에서 이를 찾아올 방법이 없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방법이 DDNS입니다.
DNS(네 임서버)란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이름 즉 도메인(abc.com)만 기억하면 네임서버가 10.127.127.97 따위의 내 PC의 IP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거기다 짧은 시간안에 변하는 IP(유동IP)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도메인과 연결하는 것이 바로 다이나믹DNS(DDNS)입니다.
상황
최근 개인용 NAS서버를 구축하다 보니 외부에서 내 서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DDNS(Dynamic DNS)를 통해서 내 서버를 찾아와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문제
1. 최근 국내외를 대다수 업체가 무료에서 유료로 전환되는 상황이라 무료DDNS 제공업체를 찾기 쉽지않습니다.
2. 공유기에서 DDNS설정이 처음입니다.
해법
1. 무료 DDNS 서비스에 가입한다.
개인적으로 찾아보니 아직까지 무료로 서비스하는 곳은 다음과 서비스를 찾았습니다. 물론 다른 좋은 곳을 찾았다면 그 곳을 이용하면 됩니다.
가입하고, 등록한 이메일로 온 확인메일 인증해주고 이용을 시작해보겠습니다.
2. 무료 도메인 서비스에 가입합니다. (소유 도메인이 있으면 필요없는 절차이나 굳이 이것때문에 도메인을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무료 도메인 서비스는 서브도메인 user1.mooo.com 형식의 서브 도메인을 부여해 줍니다.
위 서비스에서 추천한 것중 외우기 쉬운 mooo.com을 선택합니다.
3. 'Subdomains' 항목에 정상적으로 잘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4.'Dynamic DNS'항목에 잘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 줍니다.
여기까지 했다면 DDNS 설정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자신이 사용하는 '인터넷공유기'에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1. 화면과 같이 저는 유플러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공유기를 사용중입니다.
'고급설정-기타설정-DDNS'항목에서 다음과 같이 DDNS서비스에 등록된 아이디, 비번과 도메인까지 모두 입력을 해줍니다.
2. 위 그림과 같이하고 끝내버리면 user1.mooo.com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공유기설정창이 나옵니다.
우리가 공유기설정창을 보려는 것이 아니니 공유기 밑의 서버를 찾아줘야겠지요. 공유기마다 이름이 틀리지만
Super DMZ 혹은 TwinIP란 항목을 설정하여 원하는 서버를 찾아갈 수 있게 해주면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자신의 서버를 DDNS를 통해서 외부에서도 잘 찾아올 수 있는 설정을 그림과 함께 간단히 설명드렸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세요~~~!!!^^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한글자막 깨짐 (0) | 2014.11.18 |
---|---|
자작 NAS 제작시 고려해 볼 시스템 (0) | 2014.11.14 |
S.M.A.R.T. (0) | 2014.11.04 |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0) | 2014.11.04 |
SMB(삼바)와 CIFS 차이? (0) | 2014.11.04 |